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주인만 바라보는 반려견들과 생활하다 보면 문득 지루해 보일 때가 있습니다. 특히 비가 오는 등 산책을 나가기 힘든 날과 출근과 같은 사유로 집을 비워야 할 때는 더 신경이 쓰이죠. 그렇다면 즐겁게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강아지 장난감 종류는 무엇이 있고, 또 어떤 방법들로 놀아줄 수 있는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봉투를 물고 노는 강아지 사진

     

     

     

    강아지 장난감 종류

    다양한 모양과 크기, 소재로 이루어진 제품들이 많이 나오는 만큼 그 종류도 다양화되었습니다. 기본적으로 흔히 볼 수 있는 공이 있습니다.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 것부터 통통 튀어 다니는 바운스 스타일에, 한 입에 물 수 있는 크기부터 밀고 차면서 달릴 수 있는 커다란 크기까지 다양하게 나옵니다. 그리고 뛰어다니며 놀 수 있는 제품 중 프리스비도 있습니다. 공과 비슷하지만 납작한 원반의 형태로, 공중에서 멀리 날아가기 때문에 달려가서 잡는 것이 가능합니다. 부드럽고 귀여운 인형도 놀잇감 중 하나에 속합니다. 애착 인형으로 소중히 여기고 품고 자는 반려견도 있지만, 물고 씹으면서 노는 아이도 있습니다. 다만, 인형의 특성상 내구성이 약할 수 있어 뜯길 위험이 있습니다. 천이나 솜 등을 먹지는 않는지 주의를 요하는 물건입니다. 그리고 소리가 나는 제품도 있습니다. 청각을 자극하여 주의를 끌고, 호기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킵니다. 간혹 삑삑 거리는 소리를 좋아해서 계속 물고 다니며 소리를 내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활동성을 높이는 것에는 로프도 있습니다. 씹으면서 턱을 강화하고 이빨을 깨끗하게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또한 혼자 물고 흔들면서 놀기도 하지만, 주인과 함께 밀고 당기며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정적인 놀이를 좋아한다면 두뇌를 강화하는 형태도 있습니다. 발을 사용하고 규칙을 찾아내는 등 적절한 생각을 요구하는 놀잇감으로 차후 간식 등이 주어짐으로써 보상까지 얻게 되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놀아주는 방법_장난감

    그렇다면 해당 제품들을 이용해서 어떻게 놀아줄 수 있는지도 고민해 봐야 합니다. 공과 프리스비는 강아지의 활동성 뿐만 아니라, 주인의 체력까지 요구하게 됩니다. 함께 뛰고 던지며 시간을 보내야 하기 때문입니다. 처음부터 물어오라고 압박하면 어떤 요구인지 알아듣지 못하는 반려견들은 되려 해당 도구로 노는 것을 꺼려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조금씩 던지고 움직이면서 흥미를 끌어주고, 이후 따라가거나 물어오면 칭찬해 주는 식으로 진행합니다. 로프도 마찬가지입니다. 무조건 물으라고 입에 갖다 대기보다는, 바닥을 쓰는 형식으로 움직이며 흥미를 유발합니다. 쳐다보다가 발로 잡거나 물면 칭찬을 해주고 살짝 당기면서 노는 방법을 더 강화해 나갑니다. 하지만 너무 강한 힘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아이의 치아가 다치거나 공격성을 키울 수도 있습니다. 또한 계속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고 뺏기기만 한다고 여겨 부정적인 성향을 키울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 적당히 힘을 조절하며 서로 이기고 지는 등의 상호작용을 이루면서 터그 놀이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놀아주는 방법_노즈워크

    시각 정보보다 후각 정보를 우선시 하게 되는 반려견의 특성상 노즈워크는 훌륭한 놀거리 중 하나입니다. 냄새를 맡고 그 안의 간식 등 보상을 찾는 재미를 알게 되면, 찾아내기, 식별하고 추적하기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집중력을 향상할 수도 있습니다. 우선 특정 냄새를 인식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손안에 간식을 쥔 채로 냄새를 맡게 하다가 코로 툭 건들면 손바닥을 펼쳐 보여 먹을 수 있게 하는 식으로 진행합니다. 이후 도구를 사용하여 영역을 넓혀줍니다. 일정한 구멍을 통해서만 보상을 꺼낼 수 있는 통의 형태나, 발로 밀어서 여는 퍼즐 방식, 천 등의 재질로 숨길 수 있는 공간이 주어진 매트 등 다양한 제품이 존재합니다. 기본적인 단계를 인지하고 훌륭하게 해내면, 난이도를 조금씩 올리면서 조금 더 복잡한 환경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훈련합니다. 굳이 판매하고 있는 물품을 구입하지 않더라도 노즈워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종이나 휴지로 간식을 감싸서 아이에게 건네어 주면, 스스로 뜯거나 펼쳐서 찾아내게 됩니다. 그 이후 종이컵 등을 활용하여 활동을 강화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다 보면 강아지는 스스로 보상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반려견에게 노즈워크는 즐거운 활동으로 인식되어야 합니다. 흥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옆에서 지켜보며 관찰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휴식

    반려견은 끊임없는 에너지로 활발히 움직이는 것 같지만, 사실 사람보다 더 많은 수면 시간을 필요로 합니다. 물론 성향이나 종, 나이와 크기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8주 이하의 새끼는 18~20시간까지 잠을 자기도 합니다. 이후 3~6개월의 성장기에는 14~18시간 정도의 수면이 필요합니다. 성견은 12~14시간 정도로 줄어들었다가, 7살 이상의 노령기에 접어들면 활동량이 감소하면서 16시간으로 다시 증가하기도 합니다. 이렇듯 즐겁게 놀아주는 것도 좋지만, 적절한 휴식을 취해주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간혹 주인과 함께 있으면서 쉽게 잠들지 못하는 경우, 일부러 자리를 피해주어 혼자 편안히 있을 수 있도록 해 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아이의 성향과 상황에 따라 다른 시간을 필요로 하지만, 만약 갑작스럽게 수면 패턴에 변화가 발생한다면 이는 건강에 문제가 있음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아이들이 오늘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내일도 행복하고 즐겁게 놀 수 있도록 적절한 놀이 시간과 수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합니다.

    반응형